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Prometheus
- Grafana
- 스크레이핑
- argocd
- 모의해킹
- CI
- sonarqube
- Monitoring
- Service Mesh
- deploy
- CD
- eks
- DevOps
- ECR
- CI/CD
- 웹 취약점
- 크롤링
- scraping
- linkerd
- gitlab cd
- helm
- Kubernetes
- Jenkins
- gitlab ci
- 웹 해킹
- docker
- GitLab
- Resource
- opentelemetry
- Crawling
Archives
- Today
- Total
ㅡ.ㅡ
[WEB] 데이터 평문 전송 본문
※ 데이터 평문 전송
웹 상의 데이터 통신은 대부분 텍스트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로그인 또는 실명인증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(개인 식별번호, 계정정보 등)가 평문으로 송수신 될 경우 공격자가 도청(스니핑)을 다른 사용자의 민감한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.
※ 실습
로그인 페이지에서 ID와 PW를 입력 후 로그인하는 과정의 패킷을 캡처해서 확인한 결과 암호화 되지않은 HTTP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평문으로 데이터가 전송 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피들러 패킷 캡처 도구를 통해 로그인 페이지에서 doLogin페이지로 데이터를 평문으로 전송 후 검증하여 /bank/main 페이지로 이동하는 로그인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.
▼
와이어 샤크 패킷 캡처 도구를 통해 로그인 페이지에서 doLogin페이지로 데이터가 전송된 것을 확인한 모습으로 피들러와 동일하게 평문으로 전송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※ 대응방안
서버와 클라이언트 통신 시 중요정보가 사용되는 구간에 SSL 등의 안전한 암호화 통신을 적용하여 중요정보가 노출되도 알아볼수 없도록 한다.
'Securit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ode] Sonarqube Code Analysis (0) | 2021.10.23 |
---|---|
[Code] Sonarqube (0) | 2021.10.23 |
[WEB] XSS (0) | 2019.02.08 |
[WEB] 불 필요한 Method 지원 (0) | 2019.02.08 |
[WEB] 검증되지 않은 리다이렉트 취약점 (0) | 2019.02.07 |